[출근길 인터뷰] 올 첫 사망자 발생 '비브리오패혈증' 안 걸리려면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날이 더워지고 바닷물의 온도가 오르면서 먹거리에 비상이 걸렸습니다.<br /><br />올해 처음으로 비브리오패혈증 사망자가 발생한 건데요.<br /><br />주로 신선하지 않은 어패류를 날로 먹었을 때 발생하는 질환인데, 가볍게 넘길 일이 아닙니다.<br /><br />뉴스캐스터 연결해서 여름철 우리의 건강을 위협하는 비브리오패혈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<br /><br />함현지 캐스터!<br /><br />[캐스터]<br /><br />네, 오늘은 최흔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감염내과 교수와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. 안녕하십니까?<br /><br />[최흔 /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감염내과 교수]<br /><br />안녕하세요. 일산병원 감염내과 최흔입니다.<br /><br />[캐스터]<br /><br />최근 비브리오패혈증으로 인한 첫 사망자가 발생했습니다. 이 병이 생명까지 위협하는 걸까요?<br /><br />[최흔 /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감염내과 교수]<br /><br />저도 최근 기사를 찾아봤을 때 70대 여성분께서 다리 통증과 부종으로 응급실을 내원해서 입원 치료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2일 만에 사망하셨는데 이후에 검체 검사 결과에서 비브리오패혈증이 진단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.<br /><br />[캐스터]<br /><br />도대체 어떤 감염병이길래 사망까지 이르게 된 건가요?<br /><br />[최흔 /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감염내과 교수]<br /><br />비브리오패혈증은 비브리오 불니피쿠스는 세균으로 인한 급성 패혈증인데, 국내에서는 한 해에 50명 내외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돼 있고, 치사율은 50% 내외로 굉장히 위험한 감염병입니다.<br /><br />이 세균은 따뜻한 해수, 보통 18도 이상이라고 얘기를 하는데 이때 증식을 하기 시작해서 보통 5월 초부터 환자가 발생하는 것으로 되어 있고요.<br /><br />감염 경로는 오염된, 신선하지 않은 어패류를 섭취한다든지, 아니면 피부가 난 상처를 통해서 오염된 바닷물로 감염이 되는 것으로 되어 있습니다.<br /><br />[캐스터]<br /><br />비브리오패혈증에 감염됐는지 알 수 있는 증상이 따로 있을까요?<br /><br />[최흔 /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감염내과 교수]<br /><br />증상은 먼저 발열, 오한, 혈압 저하, 구토, 설사 같은 비특이적인 증상이 먼저 발생을 하는데, 이것으로는 진단이 쉽지 않지만 이런 증상이 발생하고 난 다음에 24시간 내에 다리에 부종과 변색, 통증, 출혈성 수포 같은 특징적인 증상이 나타나서 비브리오패혈증을 진단할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[캐스터]<br /><br />올해 첫 사망자가 발생했는데 치료법도 궁금해집니다.<br /><br />[최흔 /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감염내과 교수]<br /><br />모든 패혈증은 원인 세균에 대한 적절한 항생제 치료와 수액 처치가 기본입니다.<br /><br />다행히 비브리오패혈증의 세균에 대해서 적절한 항생제가 잘 알려져 있어서 환자가 의심이 된다면 우선적으로 치료를 하면서 검체 검사 결과에 따라서 항생제를 조절하면 되겠고, 만약에 환자가 혈압이나 호흡이 불안정하다면 중환자실에서 각각 장기부전에 대한 치료를 해야 되겠습니다.<br /><br />[캐스터]<br /><br />그렇다면 어떤 사람들이 비브리오패혈증에 더 취약한가요?<br /><br />[최흔 /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감염내과 교수]<br /><br />고위험군으로 알려져 있으신 분들은 만성 간질환, 당뇨, 알코올 의존증 같은 기저질환이 있으신 분들로 알려져 있고 이분들은 감염과 사망의 위험이 더 높은 것으로 되어 있습니다.<br /><br />[캐스터]<br /><br />그렇다면 이제 날이 더워지는데요. 비브리오패혈증을 예방하기 위한 생활 수칙이 있다면 설명해 주시죠.<br /><br />[최흔 /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감염내과 교수]<br /><br />먼저 먹는 경로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아까 말씀드린 어패류를 보관할 때 5도 이하의 저온으로 보관하고, 조리할 때는 85도 이상으로 가열 후에 장갑을 끼고 조리를 하는 것이 안전하겠고 이후에 조리기구는 소독하셔야 되겠습니다.<br /><br />그리고 접촉 경로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상처가 있으신, 피부에 상처가 있으신 분들이나 아까 말씀드린 고위험군에 해당하시는 분들은 바닷물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것은 피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.<br /><br />[캐스터]<br /><br />오늘 말씀 고맙습니다. 지금까지 출근길 인터뷰였습니다.<br /><br />(함현지 캐스터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